1.구약-구약에서 '아멘'은 주로 '그렇게 될지어다'라는 의미의 감탄사로 사용하였다.
즉 다른 사람의 메시지나 명령에 동의할 때 '아멘'이라고 말하였다. 솔로몬이 왕이 되리라는 다원의 선포에 대하여 브나야는 '아멘'이란 말로 자신의 동의와 확신을 표시하였다(왕상 1:36). 예레미야도 하나의 올바른 예언이 이루어지기를 바라는 의미로 '아멘'이라 말했다(렘 28:6). 또한 '아멘'은 언약 성취에 대한 확신의 의미로도 자주 사용 되었다(참조. 렘 11:5).
이외에도 율법 낭독에 대한 백성들의 동의(민 5:13, 신 27:15-26), 맹세(느 5:13)와 서약(왕상1:36) 시에 사용 되었다. 그리고 예배시 회중의 응답기도 혹은 송영에 사용하였으며(대상 16:36, 느 8:6), 시편의 끝맺는 말(시 106:48)로도 사용하였다.
2.신약一신약에서 이 말은 교회의 지도자가 말을 했을 때, 그 말에 동의하는 표현으로 사용하였다(고전 14:16).
또한 하나님의 약속이 반드시 이루어질 줄 믿는다는 표현으로도 이 말을 사용하였다(고후 1:20). 신약에서도 이 말을 '그렇게 될 것이다. 진실로, 참으로'라는 의미로 사용 되었다. 예수께서도 '아멘'이란 말을 자주 사용하셨다('내가 진실로 너희에게 이르노니'에서 '진실로'의 원문은 '아멘'이다). 그리고 송영(롬11:36), 축사(롬 15:33), 서신서의 맺는 말(히 13:21, 벧후 3:18, 유 1:25)로 사용하였다. 계시록에서는 예언에 대한 동의(1:7, 22:20), 하나님의 이름(3:14) 등에 사용하였다.
'물댄 동산 > 짧은 성경이야기 속으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성경이 제일 요긴하게 교훈하는 것이 무엇인가? (0) | 2023.09.11 |
---|---|
인간의 목적 (0) | 2023.09.07 |
할렐루야 : "여호와를 찬양하라" (0) | 2023.09.07 |
댓글